이 글을 보고 계신 분들은 케어해야 하는 부모님이 계신 분들일텐데요.
하지만 가족요양보호사로 충분한 급여를 받을 수 있을지 고민이 되실 것 같습니다.
급여내용과 앞으로의 개선상황, 추가 지원금등이 있는지 찾아보고 계시진 않나요?
그렇다면 지금부터 집중해주세요. 가족요양보호사 급여로 최대한 받을 수 있는 조건과 신청 자격, 급여 수준, 2025년 변화 등을 쉽게 정리해 드렸습니다.
가족요양보호사 제도란?
가족요양보호사 제도는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가진 가족이 거동이 불편한 부모님 등 가족 어르신을 직접 돌보면 국가에서 급여를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쉽게 말해, 집에서 가족을 보살피면서 정부로부터 일정 요양비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딸이 어머니를 정성껏 돌보고 있다면,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후 가족요양보호사로 등록하여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족을 돌보며 경제적 지원까지 얻을 수 있으니 일석이조겠죠! 정부 지원을 받으면 가족의 돌봄 부담도 그만큼 줄일 수 있어요.
가족요양보호사 급여 수준
가족요양보호사의 급여(수당)는 방문요양 서비스 수가를 기준으로 책정됩니다. 최대한 급여를 높게 받을 수 있는 방법은 90분 서비스를 하는 것인데요.
60분 서비스: 1회 약 25,000원 → 월 최대 20회 약 50만 원 (세전). 공제 후 실수령 약 35~40만 원.
90분 서비스: (조건 충족 시) 1회 약 33,000원 → 월 최대 31회 약 100만 원 (세전). 공제 후 실수령 약 80~90만 원.
(90분 서비스는 배우자(65세 이상) 돌봄 등 특별한 경우에만 제공됩니다.)
가족요양보호사 활동 시 유의사항
가족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때 알아둘 주의 사항
어르신이 병원 입원 중이면 가족요양 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집에서 돌볼 때만 가능). 같은 날 가족요양과 일반 요양 서비스를 중복 이용할 수 없어요.
가족요양보호사는 어르신과 동거하지 않아도 되지만, 실제 왕래 가능한 가까운 거리에 살아야 합니다.
2025년 변경된 내용
2025년부터 가족요양보호사 제도가 일부 달라졌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
급여 인상: 장기요양 서비스 수가 인상으로 가족요양 급여도 올라갔습니다.
부담금 경감: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의 본인부담금이 추가 경감되었어요.
서비스 요일 확대: 이제 일요일에도 가족요양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등급 심사 강화: 장기요양 등급 판정 기준이 더욱 강화되어 평가가 공정해졌어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가족요양보호사도 요양보호사 자격증이 꼭 필요한가요?
A. 네. 자격증 없이는 가족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어요. 반드시 요양보호사 자격증이 있어야 해요.
Q2. 가족요양보호사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A. 먼저 어르신의 장기요양등급을 신청해 판정받은 후, 방문요양센터에 가족요양보호사로 등록하시면 돼요.
Q3. 주말에도 가족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나요?
A. 네, 2025년부터 일요일에도 가족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요.
Q4. 가족요양보호사가 실제 받는 급여는 얼마나 되나요?
A. 본인부담금 등을 제외하고, 60분 기준 월 약 30~40만 원, 90분 기준 최대 80~90만 원 정도 받아요.
다음 글에서는 많은 분들이 요청하시는 신청조건과 방법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방법, 교육비 70%까지 지원받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