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분 안에 핵심만

상생페이백이란? 11월 30일 전까지는 꼭 보세요.

by 빠르게 핵심만 3분안에 2025. 10. 18.

상생페이백이란? 정부에서 카드 쓴 금액의 일부를 돌려준다는데, 나도 받을 수 있는 건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상생페이백이 정확히 무엇인지, 내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어떻게 신청하고 온누리상품권은 어디서 쓸 수 있는지 모든 궁금증이 해결되실 겁니다.

 

 

이 글을 작성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공식 자료, KB국민카드·신한카드·롯데카드 등 주요 카드사 안내 페이지를 직접 확인하고 분석했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2025년 10월 기준 최신 정보이며, 실제 신청 과정과 환급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상생페이백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상생페이백은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의 카드 사용액이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보다 늘었다면, 그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정부의 소비 환급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서, 작년에 한 달 평균 100만원을 카드로 썼는데 올해 9월에 130만원을 썼다면 늘어난 30만원의 20%인 6만원을 돌려받는 방식입니다. 한 달에 최대 10만원, 3개월 동안 최대 30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나도 신청할 수 있나요? (신청 자격)

2024년에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사용한 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및 외국인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작년에 카드를 한 번이라도 쓴 적이 있는 성인이라면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주부든 직장인이든 자영업자든 상관없습니다.

 

 

신청은 언제까지, 어떻게 하나요?

신청 기간은 2025년 9월 15일부터 11월 30일 자정까지입니다.

 

 

신청은 **상생페이백 홈페이지(상생페이백.kr)**에 접속해서 본인 인증만 하면 됩니다. 은행이나 카드사에 직접 방문할 필요가 없습니다.

 

 

 

신청 방법 단계별 정리

  1. 포털사이트 주소창에 '상생페이백.kr'을 입력합니다
  2. '페이백 신청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3. 휴대폰 번호나 카드 정보로 본인 인증을 합니다
  4. 디지털 온누리 앱 회원가입을 함께 진행합니다 (상품권을 받기 위해 필요)
  5. 완료!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신 분들은 확인해주세요.

 

9.15(월) ~ 11.28(금) 평일 영업시간 내가까운 신청지원 및 안내처 방문 시 신청 보조/안내


- 신청지원처 : 전통시장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청지원처 방문시 휴대폰(본인 인증용), 페이백을 지급받을 신용 또는 체크카드(1개) 지참 필요

- 신청안내처 : 국민·신한·우리·농협은행 및 농축협 영업점

 

 

한 번만 신청하면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늘어난 소비 증가분이 자동으로 환급됩니다. 매달 따로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

 

 

상생페이백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

계산 방법은 간단합니다.

 

(올해 9~11월 월별 카드 사용액 - 작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 × 20%

 

 

 

 

예를 들어볼까요?

  • 작년 월평균: 100만원
  • 올해 9월: 140만원 사용
  • 계산: (140만원 - 100만원) × 20% = 8만원 환급

 

실제로 9월분 환급을 받은 사람들의 평균 지급액은 약 5만 8천원이었습니다.

 

 

 

중요한 점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모든 카드의 사용 금액이 자동으로 합쳐진다는 것입니다. 신한카드, 국민카드, 삼성카드 등 여러 카드를 쓰더라도 따로 신청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합산됩니다.

 

상생페이백 어떤 곳에서 쓴 돈이 인정되나요?

국내에서 카드 단말기로 결제한 소상공인 매장 결제 금액이 인정됩니다. 전통시장, 동네 음식점, 미용실, 빵집,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에서 쓴 돈이 포함됩니다.

 

 

인정되지 않는 곳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백화점, 아울렛, 온라인 거래, 대기업 프랜차이즈 및 주유소 직영점, 유흥·사행업종, 대형병원, 면세점, 온라인몰, TV홈쇼핑 등에서 쓴 금액은 제외됩니다.

 

 

쿠팡이나 마켓컬리 같은 온라인 쇼핑몰, 이마트·홈플러스 같은 대형마트에서 쓴 돈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배달의민족이나 쿠팡이츠 같은 배달앱도 제외됩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동네 가게나 전통시장에서 직접 카드 단말기로 결제한 금액만 인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돈은 언제 들어오나요? 현금으로 받나요?

9~11월 소비증가분은 다음달 매 15일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됩니다.

 

  • 9월 사용분 → 10월 15일 지급
  • 10월 사용분 → 11월 15일 지급
  • 11월 사용분 → 12월 15일 지급

 

현금이 아니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받습니다. 통장에 현금이 들어오는 게 아니라, 스마트폰의 '디지털 온누리 앱'에 상품권이 충전되는 방식입니다.

 

 

만약 10월에 신청하더라도 9월 사용분도 소급해서 받을 수 있으니 늦게 신청했다고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어디서 쓰나요?

환급받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환급일로부터 5년간 전통시장, 동네 상점 등 전국 약 13만 개 가맹점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곳

  • 전통시장 (재래시장, 상점가 등)
  • 동네 슈퍼, 빵집, 정육점, 생선가게
  • 동네 음식점, 카페, 미용실
  • 배달앱 '땡겨요', '배달의명수'에서도 사용 가능
  • 일부 온라인 쇼핑몰 (우체국쇼핑, 롯데ON 온누리스토어, 보물마켓 등)

 

사용 방법

  1. 플레이 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디지털 온누리' 앱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2. 회원가입 후 본인 카드를 등록합니다
  3. 매장에서 결제할 때 앱을 실행해서 바코드를 보여주거나, 등록한 카드로 결제하면 자동으로 온누리상품권이 사용됩니다

 

네이버 지도에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을 검색하면 내 주변에서 사용 가능한 가게들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매장 입구에 온누리상품권 스티커가 붙어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상생페이백이란 자주 묻는 질문 정리

Q. 작년보다 무조건 더 써야 받나요? 네, 작년 월평균보다 더 써야 합니다. 작년과 똑같이 쓰거나 오히려 덜 쓰면 환급 대상이 아닙니다.

 

 

Q. 여러 카드를 쓰는데 어떻게 되나요? 본인 명의의 모든 카드가 자동으로 합산됩니다. 따로 신청할 필요 없습니다.

 

 

Q. 가족 카드도 포함되나요? 가족카드 사용액은 카드를 발급한 본인의 사용액에 합산됩니다.

 

 

Q. 늦게 신청하면 9월 것도 받을 수 있나요? 네, 11월 30일까지 신청하면 9월과 10월 소비 증가분도 소급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Q. 신청했는데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려면? 상생페이백 홈페이지에 로그인하면 신청 내역과 예상 환급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 2~3일 뒤부터 조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