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어깨 통증이나 ‘딸깍’ 소리 등의 증상이 있으신가요?
이 글을 보시고 관절와순이 의심되신다면, 가능한 한 빨리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길 권합니다.
평소에 규칙적인 어깨 근력 운동과 올바른 자세를 실천하면 관절와순 파열을 미리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 또한 예방방법에 정리해드렸으니 어깨통증이 있으신 분들은 글을 끝까지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주요 참고 문헌
- 정형외과 교과서 및 임상 지침
국내외 정형외과 전문의들의 최신 임상 가이드라인과 표준 교과서를 토대로, 관절와순 파열 진단과 치료법에 대한 종합적 지침을 반영하였습니다.
-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2020년)
특정 스포츠(야구, 테니스 등) 선수들의 관절와순 손상 발생률과 재활 결과에 대한 연구 보고
-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9년)
관절경 수술(Arthroscopic Surgery)을 통한 관절와순 파열 봉합술의 효과와 재발률 분석
관절와순이란 무엇인가요?
관절와순은 어깨를 이루는 뼈(견갑골)의 가장자리 주변을 감싸고 있는 연골 조직입니다. 이 연골은 어깨관절이 움직일 때 상완골(위팔뼈)이 잘 빠지지 않도록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관절와순은 이두박근 힘줄이 붙는 부위이기도 해서, 팔을 들어올리거나 돌릴 때 힘을 제대로 전달해주는 중요한 구조입니다.
관절와순 파열의 원인
스포츠 손상
야구, 테니스, 배드민턴 등 팔을 많이 흔들거나 던지는 동작은 어깨에 큰 부담을 줍니다. 반복적인 회전 동작이 누적되면 관절와순에 미세한 찢어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외상(사고)
넘어지면서 팔을 뻗어 지면을 짚을 때 충격이 그대로 어깨로 전달되어 관절와순이 찢어질 수 있습니다.
과사용 증후군
반복적으로 무거운 짐을 들거나, 손을 머리 위로 자주 올리는 직업을 가진 경우(예: 페인트칠 등), 관절와순이 조금씩 손상되고 결국 파열에 이를 수 있습니다.
노화
나이가 들면서 연골 조직이 얇아지고 탄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에도 관절와순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관절와순 파열의 증상
어깨 통증
옷을 입거나 빗질을 할 때처럼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에서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동 제한
어깨를 돌릴 때 걸리는 느낌이 들거나, 움직임의 범위가 예전보다 줄어든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딸깍’ 소리
팔을 특정 각도로 움직일 때 어깨 속에서 자꾸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힘 저하
팔에 예전만큼 힘이 실리지 않아, 들어올리거나 밀 때 힘들다고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관절와순 파열의 치료법
관절와순 파열은 환자분의 손상 정도, 연령, 활동 수준 등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1. 비수술적 치료
약물 치료: 진통제와 항염증 약물을 사용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물리 치료: 관절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재활 운동을 통해 어깨 안정성을 높입니다.
휴식: 일시적으로 어깨 사용을 줄이고, 반복 동작을 피함으로써 자연 회복을 돕습니다.
2. 수술적 치료
관절경 수술: 작은 카메라(관절경)를 어깨 내부에 삽입해 손상 부위를 직접 확인하면서 치료합니다. 이 방법은 절개 부위가 작아 회복이 빠른 편입니다.
봉합술: 찢어진 관절와순을 실로 꿰매어 본래 위치에 가깝게 복원하는 방법입니다.
(참고)
2019년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관절경을 통한 봉합술이 어깨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며 재활을 통해 성공적으로 복귀한 사례가 많다고 보고합니다. (연구 결과를 한국어로 옮긴 내용)
3. 관절와순 파열 후 회복 기간
비수술적 치료: 몇 주에서 몇 달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물리 치료와 충분한 휴식이 필수적입니다.
수술 후 재활: 일반적으로 3개월에서 6개월 이상이 소요됩니다. 특히, 수술 초반 6주 정도는 팔 걸이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후에는 단계별 물리 치료를 거쳐 어깨 운동 범위를 늘립니다.
재활 초기에는 너무 무리하지 않고, 물리치료사의 지시에 따라 천천히 운동 강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절와순 파열의 예방
올바른 자세 유지
장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을 때 어깨가 너무 올라가거나 말리지 않도록 신경 쓰세요.
운동 전 스트레칭
가벼운 어깨 돌리기, 팔 뒤로 젖히기 등 어깨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꼭 하세요.
근력 강화
덤벨이나 탄력 밴드를 이용해 팔과 어깨 주변 근육을 강화하면, 어깨 관절이 더 잘 지탱됩니다.
적절한 장비 사용
야구나 테니스처럼 반복 동작이 많은 스포츠를 즐기신다면, 어깨 보호대 등 보조기구를 착용해 부상을 예방하세요.
결론
어깨 관절의 구조는 생각보다 복잡하고, 관절와순은 그 중심에서 안정성을 책임지는 핵심 부위입니다. 관절와순이 손상되면 통증뿐 아니라 팔의 움직임 전반에 제약이 생겨 일상생활이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다행히,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를 받으시면 통증을 줄이고 기능을 많이 회복할 수 있습니다.
'3분 안에 핵심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신부전, 증상을 늦게 알아차리면 합병증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 | 2024.12.28 |
---|---|
회전근개증후군 이 글만 보셔도 됩니다. 대한 정형 외과 학회 가이드라인 (1) | 2024.12.27 |
쇼그렌 증후군 증상, 작게 느껴져서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습니다. (2) | 2024.12.24 |
고지혈증 수치 미국심장협회의 자료를 참조 (0) | 2024.12.23 |
뇌졸중 치료 급합니다. 3분안에 핵심만 이해하세요. (3) | 2024.12.22 |